전격적으로 관세 유예한 트럼프, "채권시장은 차갑다" / 삼성 제친 하이닉스, 42년... 만이었다.

메인 뉴스 : 주식시장 붕괴에도 눈 깜짝하지 않던 트럼프, 장기채 금리 급등에 한 발 아니 두 발 쯤 물러섰습니다. 이제는 트럼프가 고관세 정책을 펼친다고 해도 시장에 약발이 크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양치기 소년처럼 말이죠. 하이닉스가 삼성을 제치고 D램 왕좌에 올라섰습니다. 42년만입니다.

빨리 읽기 : 아니 전투기 무단 촬영한 중국인 고등학생들 이거 처음이 아니래요 와~

Chart of the Day : 나스닥, 어제는 강반등 보여줬지만 50/200 데스크로스 지점 진입했습니다. 아직, 불확실성은 다 끝나지 않았습니다.

전격적으로 관세 유예한 트럼프

주식시장은 안 무서워도 채권시장은 무섭거든

트럼프 대통령의 대혼란🥴, 한밤중 관세 폭탄→14시간 만에 유턴

Daily newspaper economy stock market chart
Photo by Markus Spiske / Unsplash

대통령이 쏜 '관세 폭탄', 자신에게 되돌아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요일 자정 직후 전 세계 수십 개국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상호' 관세를 기습적으로 부과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표 후 장기 국채 금리가 치솟으며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는데요.

특히,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2001년 이후 최대폭의 급등세📈를 보이면서 시장은 물론 트럼프 대통령까지 충격에 빠뜨렸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이 불안해하기 시작했다"고 인정했죠. 결국 그는 14시간 만에 자신의 결정을 완전히 뒤집으며, 현대 대통령 역사상 가장 빠르고 극적인 정책 반전을 기록했습니다.

시장을 뒤흔든 트럼프식 '관세 밀당'🤹🏻

갑작스러운 관세 부과 결정에 대한 시장 반응은 예상보다 격렬했습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 개국에 대한 관세 확대를 3개월간 긴급 유예🕒하는 초유의 결정을 내렸습니다.

단, 중국🇨🇳만은 예외였는데요. 중국이 즉각 보복관세를 발표하자 트럼프는 중국에 대한 관세를 오히려 더 높이며 '강대강' 전략을 고수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번 결정을 "동맹국과 무역 파트너들의 협상 의지를 끌어내기 위한 교묘한 전략"이라고 포장했지만,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시장 혼란에 상당 부분 압박받았음을 시인했습니다.

금융 거물들의 우려가 트럼프를 움직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한밤중 관세 발표 직후, 그의 측근이자 공화당 중진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부터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까지, 대통령의 '관세 폭탄'에 대한 우려가 빗발쳤습니다.

특히 JP모건 CEO 제이미 다이먼의 발언 수위는 다소 포았습니다. 다이먼은 방송을 통해 "트럼프의 무역 전쟁이 경기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는데요. 트럼프는 이 발언에 "다이먼은 정말 똑똑하고 금융의 천재다"라며 즉각 반응했습니다.

결국 대통령은 시장의 혼란과 금융 거물들의 우려에 무게를 두고, 자신의 강경한 입장을 긴급 철회하기로 마음먹습니다.

'트럼프 리스크'에서 '트럼프 반등'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시장 압박이 커지자 백악관에 경제 자문위원들을 긴급 소집했습니다. 대통령은 애초에 철회 계획 없이 단행했던 관세 확대 결정을 뒤집는 SNS 글을, 법률팀과 상의조차 없이 직접 작성했다고 합니다.

그는 "사람들이 선을 넘었고, 시장이 좀 지나치게 불안해졌다"며, "이제는 유연성을 발휘할 때"라고 설명했습니다.

고먐미 코멘트 : 채권 자경단이 무릎 꿇린 트럼프

채권은 정부의 자금 조달 수단입니다. 그리고 그 정부의 자금 조달 계획 혹은 사업 계획이 현실성이 없으면, 당연히 더 높은 프리미엄을 지급해야 하죠. 더 높은 금리로 자본을 조달해야 한다는 소립니다.

네, 위험한 사업에 위험한 개인에게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는 것처럼. 그런 국가에도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되죠.

또 하나, 기발행한 채권 매도에 대해서도 말해보죠. 사업체가 발표한 사업 계획으로 인해 만기 시 원리금 상환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판다하면, 그 채권 매도 해야겠죠. 매도의 결과로 채권 가격은 낮아지고, 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이번 관세 전쟁 선언과 금리 폭등 또한 그런 맥락에서 읽어볼 수 있을 겁니다. 관세를 통해 무역적자를 줄이고, 재정 지출을 줄여서 재정도 개선하겠다는 포부를 외치며 시작했지만 세계의 '돈'이 그걸 믿어주지 않았던 겁니다.

그리고 10년채 금리는 지지율과 직결하죠.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없게 된 대중은 지도자에 돌아설 수 밖에 없습니다.

주식시장 붕괴에는 어쩌면 극약처방이라면서 버티던 트럼프도, 채권 금리 급등 앞에서는 버틸 수 없었던 이유입니다.

아마존에서 사라지는 중국 제품들

음 미국 소비자들은 어떨까?

Photo by Christian Wiediger / Unsplash

아마존도 '트럼프 관세 폭탄'에 깜짝 놀라😱…중국산 제품 긴급 주문 취소 사태

트럼프 관세 폭탄💣 맞은 아마존, 긴급 대응 나서다

아마존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기습적으로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에 대응해 중국 및 아시아 국가에서 주문한 상품을 대규모로 취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블룸버그가 입수한 내부 문서와 업계 관계자들의 제보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주 중국과 베트남, 태국에서 생산된 해변 의자, 스쿠터, 에어컨 등 다양한 상품의 주문을 갑자기 취소했습니다.

아마존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지난 2월 연례보고서에서 이미 "국제 무역 분쟁이 심각한 위험 요소"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아마존이 관세 회피를 위해 취한 비상 조치?😧

업체들은 주문이 아무 예고 없이 취소된 것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10년 이상 해변 의자를 판매해온 한 업체는 최근 "실수로 주문을 발주했다"며 아마존으로부터 50만 달러 규모의 주문 취소 이메일을 받았는데요. 이미 생산이 끝난 제품에 대한 주문이 일방적으로 취소되자, 이 업체는 다른 구매자를 찾아 나서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처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판매자는 "이렇게 갑자기 주문을 취소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말하며, 이번 사태가 트럼프의 관세와 직접 관련돼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직수입' 주문 취소로 관세 부담 공급업체에 떠넘기나😠

문제가 되는 수입 방식은 아마존이 공급업체로부터 상품을 직접 도매로 구매하여, 미국 내 아마존 창고까지 직접 수입하는 구조인데요. 이 과정에서 아마존이 미국 세관에 직접 관세를 지불해야 합니다.

고먐미 코멘트 : 그냥 막 맘대로 관세 때리는 거야 아마존에서 물건을 직접 안 사니까~

한 장면이 같이 떠올라요. 우리나라에서 중국 직구를 규제했던 때가 떠오르실 거예요. 테무, 알리바바 못 쓰게 하니까 그냥 들불처럼 분노가 번졌었죠. 하지만 문제의 핵심은 플랫폼이 아니라 셀러입니다. 테무, 알리바바에 입점한 중국 셀러들이 정말로 저렴한 값에 물건을 공급했으니까 말이죠.

그리고, 전세계 보편관세가 연기된 마당에도 대중국 관세는 발효되었고 이 셀러들 그리고 테무, 알리바바에서의 물건값들 모두 폭등하기 직전일 겁니다. 아예 품목이 빠져버릴지도 모르고 말이죠.

미국인들은, 아무 불만이 없을까요?

가이던스 철회한 델타항공

경제의 가장 큰 적은 불확실성

✈️ 델타항공마저 항복! 트럼프발 '관세 폭탄'에 경고음🚨

관세폭탄에 결국 연간 전망 철회한 델타항공📉

미국 항공업계의 대표 주자인 델타항공이 연간 실적 전망을 철회했습니다.

델타항공 CEO인 에드 바스티안은 "세계 무역 환경이 매일 바뀌고 있어 올해 어떻게 될지 예측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며 기업들이 처한 어려움을 생생히 설명했는데요.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도 "항공사들이 마치 이미 경기 침체에 들어간 것처럼 방어적 태세에 돌입했다"며 심각성을 강조했습니다.

항공사들이 왜 '트럼프 관세'에 흔들리는 걸까?🛬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는 운동화, 자동차에서부터 철강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가격 급등을 초래하고 있는데요. 이는 소비자들의 심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여행이나 항공권 같은 고가 소비 품목부터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에어캐나다와 버진애틀랜틱 같은 글로벌 항공사들도 이미 미국행 노선에서의 수요 약화를 경고했습니다.

델타항공 역시 프리미엄 좌석과 국제선 수요 둔화를 특히 우려하고 있으며, 이미 올 하반기 자본 지출을 줄이고 공급 확대를 동결하는 등 경기 침체에 대비해 적극적으로 방어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나마 1분기 실적이 다행이었지만, 안심할 수는 없다😥

델타항공의 올해 1분기 실적은 그럼에도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매출은 130억 달러로 시장의 기대에 부합했고,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46센트로 예상치인 39센트를 상회했습니다.

하지만 델타항공은 올해 초 내놓았던 "연간 조정 순이익이 주당 7.35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을 공식적으로 철회했습니다. 대신 2분기 EPS 전망을 1.70~2.30달러로 발표했는데, 이는 월가의 평균 예상치(2.29달러)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TD 코웬의 분석가는 델타항공이 연간 전망을 철회한 것이 "신중한 선택"이라며 오히려 위기 상황에서 다른 항공사보다 더 안정적으로 위기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죠. 시장에서도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발표 이후 델타항공의 주가는 일시적으로 5% 이상 올랐습니다.

고먐미 코멘트 : 마음의 가장 큰 적은 불확실성🚧

트럼프발 관세전쟁은 현재진행형입니다. 90일 유예를 두고 마치 모든 것이 해제된 것 마냥 환호했다가는 또 어떤 일에 부딪힐지도 모르죠.

중요한 건 불확실성입니다. 가령 90일 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또 제일 중요하게는 중국과의 관계 정립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까요?

그렇다면 여러분이 기업의 CEO라면, 이런 상황에서 성급하게 투자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요? 90일 뒤에 보자. 중국과의 관세 관계가 정립된 다음에 투자하자는 식으로 투자를 미룰 가능성이 크겠죠?

그리고, 투자와 소비가 멈추면 그걸 우리는 '침체'라고 부릅니다.

42년만이었다

삼성을 제친 하이닉스

A close-up image of a laptop RAM module from a different angle. The module is a small, rectangular circuit board with numerous gold-colored pins along its edges. Several black integrated circuits (ICs) are visible on the surface, with text labels indicating specifications like "HSTO2683CFR" and "225V". The module also features a sticker containing a barcode and the text "Hynix PBC".
Photo by OMAR SABRA / Unsplash

🔥SK하이닉스, 창사 42년만에 삼성 제쳤다…‘D램 왕좌’ 탈환!🚩

HBM 독주로 삼성전자 점유율 추월한 SK하이닉스📈

42년 만에 역사적인 일이 일어났습니다. SK하이닉스가 올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36%를 기록하며 삼성전자(34%)를 앞지른 겁니다.

특히 이번 역전의 핵심은 바로 HBM(고대역폭메모리)인데요. AI 열풍에 힘입어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SK하이닉스가 HBM 시장 점유율을 무려 70%까지 끌어올린 덕분입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최정구 책임연구원은 “HBM 수요 증가라는 시장 변화에 초기부터 전략적으로 대응한 기업들이 이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SK하이닉스가 이번 성과를 계기로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리더로 우뚝 섰다고 평가했습니다.

🔍삼성전자, HBM 생산 부진으로 고전😥

반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HBM 공급량이 감소하면서 이번 역전을 허용했습니다. 삼성의 올 1분기 D램 매출은 약 12~14조 원으로, SK하이닉스와 거의 비슷한 규모였지만, 성장세 측면에서 뚜렷한 한계를 드러냈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HBM 고부가 제품인 HBM3E 12단 등에서 SK하이닉스보다 상대적으로 출하량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관세 전쟁 속에서도 'HBM의 힘'은 계속될까?🤖

전 세계 무역 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반도체 산업 역시 관세의 영향권에 있습니다. 하지만 HBM 분야는 최소한 단기적으로 관세 충격을 덜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카운터포인트 황민성 연구위원은 "HBM의 최종 수요가 AI 서버이기 때문에 국경을 초월한 수요가 계속될 것"이라며 낙관적 전망을 내놨죠.

그런데... 이건 좀 회의적이네요. 아래에서 좀 더 적어보겠습니다.

💡HBM 시장의 승자가 반도체 시장의 주도권을 잡는다

물론 90일 연기되었지만, 보편관세는 계속되고 있죠.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품목 별 관세도 발표를 앞두고 있습니다.

AI데이터센터에는 물론 반도체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자재와 인프라 구축에 들어가는 비용이 관세로 인해 어떻게 영향을 받을지 알 수 없는 실정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금년 들어 계획되었던 AI 데이터센터 관련 시설 투자를 축소하거나 변경하는 데에는 이런 이유도 영향을 미쳤겠죠. 그리고 이렇게 돈을 쓰게 되면, 칩의 구매 규모 또한 줄어들 수 밖에 없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관련 주식이 미친 듯이 우상햐하던 때를 기억하십니까? 전기차가 정해진 미래가 될 것이고 그 시점도 매우 빠를 거라는 예측이 한 때는 정설처럼 받아들여졌죠. 그런데 지금은 어떤가요?

칩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고령층만 일하는 나라

청년 일자리는 순감소

Business time
Photo by Marten Bjork / Unsplash

👴고령층만 일하는 나라?… 청년 일자리는 사라지고 있다📉

지난달 취업자 19만 명 증가? 내용은 ‘고령층 일자리’ 급증!😬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19만3000명 늘었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썩 좋지 않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을 제외하면 오히려 17만2000명의 일자리가 줄었기 때문인데요.

특히 청년층(15~29세) 일자리는 3개월 연속 20만 명 이상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제의 중추라 할 수 있는 40대(-4만9000명)와 50대(-2만6000명) 역시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그나마 30대만 10만9000명 증가하며 선방했지만...

🏭 제조업 일자리, 9개월 연속 감소…갈수록 악화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달에만 11만2000명이나 감소했습니다. 이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11월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인데요. 지난 몇 년간 이어진 경기 침체가 이제 제조업 고용까지 본격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셈입니다.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 제조업 일자리 '한파' 예고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시행으로 우리나라 통상환경이 악화되며, 제조업 일자리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 역시 "소비재와 기계장비 제조업부터 주력 수출산업까지, 관세 전쟁의 여파로 제조업 일자리가 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습니다.

물론 90일간 상호관세 적용이 미뤄지긴 했지만, 지금도 보편관세에는 무게가 걸리고 있죠 또 하나 더해서, 우리나라 중추를 이루는 자동차산업에도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죠.

🚨쉬는 청년 '역대 최대'… 갈 곳 없는 20대 후반

특별한 이유 없이 ‘그냥 쉬는’ 청년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육아나 학업 때문이 아니라, 일자리가 없어서 쉬는 청년만 45만5000명으로 집계됐죠. 이 또한 3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입니다.

정부는 청년층 취업 부진의 원인을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는데요, 사실 이것만으로는 설명력이 떨어집니다.

🔖고먐미 코멘트 : 취업이 잘 되는 사회를 만들든가

결국 중요한 건 일자리에요. 그리고 일자리 창출은 기업이 합니다. 반면 60대 이상 고용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건 대부분 정부에 의해 창출된 일자리들입니다.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 거액의 대미 투자가 연이어 발표되고 있죠? 여기에 무턱대로 박수를 치는 거, 어리석습니다. 첫번째는 일자리 감소, 두번째는 내수 파급 더 멀리는 국가 재정수입 감소와 연금 규모 축소까지 한 번에 해버리는 게 바로 해외 투자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들 기업의 행동에도 이유는 있을 겁니다. 언급드린 바 있는 관세 회피가 첫번째 목적이라면 우리나라가 그렇게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아니라는 점도 한 몫 거들 거라고 봐요. 우리나라에서 기업하는 것이 유리하게끔, 기업의 투자에 파격적인 혜택을 주고 또 추가 고용에도 정부가 발벗고 나서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겁니다.

그리고 상속 문제도 있지만... 이건 나중에,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빨리 읽어보자고

"티 안나서 괜찮아" 걸려도 쉬쉬?…10억미만 금융사고 2배 뛰었다 : ;;

'전투기 무단촬영' 中고교생들, 첫 입국 아니었다…지난해에도 다녀가 : 어휴 이거 어째야되냐? 정말? 이런 문제에 좌우가 어디 있겠어요

"내 캐릭터 뺨 맞아 모욕감 느꼈다"…게임 회사 고소한 中 남성 : ㅋㅋㅋ

Chart of the day

차트로 보는 시장

펀더멘탈 롱/숏 비율이 코로나때보다도 낮아졌습니다. 이러면, 네. 사봐도 됩니다. 라는 콜을 4월 8일 했었습니다. 기록용으로 남겨봅니다...

그렇지만 음, 중기 추세가 반전했다고 보기는 힘듧니다.

관세 정책 관련 매일 새로운 뉴스가 쏟아져나오는만큼, 악재가 모두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힘들 겁니다.

바로 어제, 50/200 데스 크로스가 나왔습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