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배수 0.28, 지옥보다 낮을 거 같은데? / 국장, 저축마저 버리고 코인으로 가는 K모험자본

메인 뉴스 : 25년 1월 구인배수 0.28, 충격적입니다. 언론 보도는 매우 적네요. 마치 자살 보도처럼. 국내 투자자들 저축과 국장을 버리고 코인으로 뛰어들고 있습니다. 머스크, 오픈AI에 인수 제안서를 날립니다... 그러게 왜 갈라섰어?

빨리 읽기: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13달만에 최고라고 합니다.

Chart of the Day : 제일 많이 팔린 게임들인데요. 오~ PUBG?

구인배수 0.28

지옥 구인배수보다 낮을 거 같은데?

Photo by Peter Leong / Unsplash

26년 만의 최저 구인 배수… 0.28의 충격
지난달 정부 구인·구직 사이트 ‘워크넷’ 집계에 따르면, 구직자는 47만9,000명, 구인 규모는 13만5,00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구직자 1명당 일자리를 의미하는 ‘구인 배수’가 0.28로 떨어졌습니다.

IMF 외환 위기 이후 26년 만의 최저치입니다.

구인 배수 급감의 배경은?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구직자는 6.5%밖에 줄지 않았지만, 구인 규모는 무려 43%(10만1000명)나 감소했습니다. 그래서 전체 구인 배수가 크게 하락한 결과가 나타난 것입니다. 고용시장에서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이 크게 위축되었다고 볼 수 있죠.

양질의 일자리 부족
양질의 일자리를 의미하는 고용보험 전체 가입자 수는 지난달 1517만4000명에 그쳤습니다. 이는 작년 1월에 비해 겨우 11만5000명 늘어난 수치로, 카드 대란 직후인 2004년 1월 이후 최저 증가치를 기록했는데요.

일자리도 없고, 양질의 일자리는 더 없다. 뭐 그런 이야깁니다. 쉽게.

고먐미 코멘트 : 취업이 잘 되는 사회를 만들었어야지

일단 숨을 좀 고르고 쓰겠습니다. 화를 가라앉히고...

무슨 말부터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일단은 이 이야기부터 하죠. 2024년 9월, FT에서 재미있는 보도 하나가 나옵니다. 2023년, 215억달러를 투자한 한국이 대미 최대 투자국에 올랐다고 보도한 겁니다. 네, 1위요.

이 투자는 대개 공장 및 시설 투자였습니다. 공장을 건설하고 길을 닦고 수천에서 수만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게 될 투자를 우리나라가 세계 유수의 부국들을 제치고 1위를 한 거예요.

아시다시피 미국은 "미국에서 생산하라"는 기치를 내걸고 관세를 전가의 보도마냥 휘두르고 있습니다. 이건 뭐냐면, 미국의 청년층에게 일자리를 주겠다 라는 의지인 것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이 투자, 즉 미국인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이 투자가 의미하는 건 우리나라에서 취업할 수 있는 청년 일자리의 순유출입니다.

미국에 얼마를 투자하기로 했다. 바이든이 대한민국을 칭찬했다와 같은 언론 기사들에 우리 기업들이 대단하다며 박수를 쳐대던 모습이 참... 안타까웠습니다.

원인은 물론 다면적입니다. 행동 주체가 대기업이었다고 대기업만 탓할 수는 없어요. 우리나라는 수출 위주 경제 모델을 운용하고 있고, 따라서 최대수입국의 요구에 맞춰야 하는 면, 분명히 있죠.

문제는 그 미국에 바다 하나를 건너 말도 여기보다 덜 통하는 그 대륙에 생산거점을 만드는 게 차라리 낫다고 판단할 정도로 망가져버린 우리나라의 반기업 제도, 반기업 정서에도 있을 겁니다.

가령 지난 수십년간 삼성 해체 작업에 나섰던 정치 일군은 이제 와서 삼성의 자성적 노력이 부족했다며 목에 핏대를 세우고 있기도 하죠. 계속 패다가 다리 좀 전다고 왜 이렇게 몸이 허약하냐는 식인 겁니다. 이 정도면 진짜... 어마무시한거죠.

특정 인물, 정당을 비난하는 정치적 내용이 아닙니다. 우리나라에 팽배한 반기업 정서 전체를 이야기하는 겁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기업하기 좋은 나라에서 채용이 늘어나게 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뒷짐지고 이게 옳으니 저게 옳으니를 논하는 양반나리들이 때문이 아니라 무언가를 치열하게 만들고 파는 기업들이 있기에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 경제란 말입니다.

이것 말고도 수많은... 요인들이 구인배수 0.28을 만들어낸 배경이겠죠. 지나치게 높은 가계부채로 인해 얼어붙은 내수, 신입보다 경력만 찾는 구인 행태, 재취업을 포기시켜버리는 악랄한 수습제도, 목숨과 건강을 빼앗기고도 아무런 보상이 없는 산업재해의 현장....

일단은 여기까지만 적겠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지네요. 영상으로 다루겠습니다.

저는 한 때 취업이 잘 되는 사회를 만들라는 어떤 개그맨을 비웃었습니다. 그런데 그 말이 맞네요. 사람이 실패하면 개인의 문제지만 사회가 실패하면 제도의 문제인 것이죠. 0.28은 이미 한참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는 숫자입니다.

고쳐 줘야 해요.

중국 AI 굴기, "삼중나선계획"

무협지를 너무 많이 보는 거 같음...

AI Exploration
Photo by Cash Macanaya / Unsplash

중국, AI 패권 위해 ‘삼중나선형 계획’ 수립... 너넨 이름이 왜케 다 무협지스럽니?

최정상급 AI 인재 5만 명 목표 달성
중국 정부가 최정상급 인공지능(AI) 인재 5만 명 확보를 핵심 목표로 하는 AI 발전 계획을 수립 중이에요. 이 계획은 가칭 ‘삼중나선형 계획’으로 명명됐으며, 과거 해외 석학 1000명을 유치했던 천인계획의 업그레이드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삼체..를 보고 감명을 받은 건가?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혁신적 제도 도입했어요
중국 정부는 캐나다와 호주처럼 ‘기술이민 점수제’를 도입해 해외 고급 기술 인력에게 영주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에요. 또한, 양자컴퓨팅과 머신러닝 분야에서 박사 학위 취득자들이 연구할 수 있도록 ‘박사후(post-doctoral) 연구소’ 설립 방안도 포함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해외에서 우수한 두뇌를 적극적으로 유입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는 것이죠.

기업 투자 촉진과 장기 지원 체계 마련했죠
정부는 AI 연구개발(R&D) 비용을 단순 비용이 아닌 자산으로 인정해 기업의 R&D 투자를 촉진하는 방안도 고려 중입니다. 더불어 국유 자본을 활용해 AI 스타트업 등에 10년 이상 장기 투자하는 ‘인내자본 펀드’ 도입 방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고먐미 코멘트 : 멀어지는 품질 격차

무서운 건 중국 정부의 중국산 AI 훈련용 칩 점유율을 현재의 15% 수준에서 35% 수준으로 올리려고 한다는 겁니다. 우리나라의 중추 산업은 크게 두 개... 이제는 세 개 정도겠죠. 반도체, 자동차, 조선의 셋일 겁니다.

이 중 반도체. 우리나라의 대 중화권 반도체 수출은 전체 반도체 수출에서 50% 가량을 차지합니다. 23년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말이죠. 그런데 이 50%가... 독립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겁니다. 게다가 독립 시도와는 별개로, 미국의 대중 수출이 제한될 경우 피해를 받을 수 밖에 없겠죠. 여러모로, 매출 확대보다는 축소 쪽으로 방향계가 맞춰지고 있다는 뜻이에요.

중국이 이렇게 AI, 반도체같은 미래 기술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경제 성장의 측면에서 양적인 면보다 질적인 면에 포커스를 맞추겠다는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해외 인재 유치, 기술 자립, 정부 지원의 삼중..나선.. -_-; 네네. 이름은 뭐 상관 없죠.

국장, 저축 버리고 코인으로 간다

K모험자본

🔴🔴🔴  I worked a lot to create this image, please consider sending a small donation to support my work.
►► My Paypal link is in my profile 
Thank you so much
Photo by Mathieu Stern / Unsplash

저축, 주식 버리고 코인으로 가는 K승부사들
한국에서는 은행 정기예금과 주식 투자 매력이 낮아지면서 자금이 빠르게 암호화폐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tmqslek. 정부와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예금이 지난해 같은 달의 5조2,200억 원에서 10조6,600억 원(73억 달러)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어요. 투자자들은 낮은 이자 수익과 침체된 주가 때문에 은행 예금이나 주식 중개 계좌에 묶여 있던 자금을,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암호화폐 시장으로 옮겼습니다.

상위 5대 은행, 자금이 대거 이탈했어요
국민, 신한, 우리, 하나, NH농협 등 국내 상위 5대 상업은행에서는 1월에 정기예금과 저축 잔액이 전월 대비 5조7,500억 원 감소했어요. 작년 말에는 20조 원 이상의 자금이 정기예금 계좌에서 인출됐던 점을 감안하면, 최근 2개월 동안 상위 5대 대출 기관은 총 약 26조 원의 자금을 잃은 셈인데요... 어디로 갔냐면

암호화폐 거래소, 자금이 폭풍처럼 쏟아졌죠
같은 기간 동안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막대한 자금을 유치했어요.

  •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1월 말 기준 7조7,600억 원의 예치금을 기록했으며,
  • 빗썸은 2조5,200억 원, 코인원은 2,383억 원, 코빗은 1,311억 원, 고팍스는 121억 원을 보유했어요.
    또한, 상위 5대 거래소의 일일 거래량은 월요일에 10조 원으로 치솟으며, 국내 주요 증시 코스피와 코스닥을 뛰어넘었습니다.

고먐미 코멘트 : 물극필반

코인, 미국주식에 대한 선호가 극에 달한 시점이라고 봅니다. 반해, 한국경제와 국장에 대한 평은 자조를 넘어 멸시에 가깝죠.

그런데 여러분 항상 기억하십시오. 부자는 소수고, 또 단순히 소수가 아니라 지배적인 비관이나 낙관에 거스를 줄 아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뭐 미국주식 끝물이다 이런 소리 하려는 건 아니구요.

또 공사비 증액 요구야?

좀 양아치같은 거 같지만...

Photo by Scott Blake / Unsplash

GS건설, 메이플자이 추가 공사비 4859억원 요구
서울 서초구 신반포4지구 재건축 사업인 메이플자이 아파트 시공사 GS건설이 재건축 조합 측에 총 4859억원의 추가 공사비 지급을 요구했어습니다. 이 중 2571억원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GS건설은 지난해 12월 재건축 조합을 상대로 물가 상승 등 외부 환경 변화를 반영한 추가 공사비 지급을 요구했는데, 조합 측이 이를 거부하며 소송으로 번지게 된 것입니다.

공사비 증액 내역 구체적으로 설명했어요
추가 공사비 요구 금액에는 세 가지 주요 항목이 반영되었습니다.

  • 물가 상승분 967억원,
  • 일반 분양 세대 수 감소로 인한 분담금 증가분 금융 비용 777억원,
  • 착공 전 물가 상승분 310억원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GS건설은 설계 변경과 특화에 따른 추가 공사비 2288억원도 별도로 요구했어요. 이 금액이 합당한지 검증을 위해 한국부동산원에도 요청한 상태입니다.

과거 공사비 증액과 이번 요구 비교했어요
GS건설은 2017년 10월 계약 당시 3.3㎡당 공사비 499만원에 사업을 수주했어요.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공사비가 상승한 게 주요 원인이 된 겁니다.

고먐미 코멘트 : 잘 모르긴 합니다

부동산은 잘 모른다는 걸 전제하고 말할게요. 이런 뉴스가 처음이 아니죠. 처음이 아니라기보다 이제는 흔해졌죠. 그러니까 재건축 시 가구로 돌아가는 이익은 줄고 비용은 늘게 되었다 이 소린 거예요. 말인즉, 시세차익의 시대에서 임대수익의 시대로 가는 신호가 아닌가 합니다.

사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게 캐나다 국부펀드인가? 거기서 우리나라 월세 시장 진입하더라구요. 뭐 먹을 게 생기려나보다. 그런 생각 했습니다.

머스크, 오픈AI 인수 제안

내가 널 버렸는데 왜 잘 나가?

Photo by sebastiaan stam / Unsplash

일론 머스크, 974억 달러OpenAI를 인수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어요.
머스크가 이끄는 투자자 그룹이 자발적인 입찰을 통해 OpenAI를 "오픈소스와 안전에 집중하는 선한 세력"으로 회복시키고자 한다고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OpenAI 최고경영자 샘 알트만은 머스크의 X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고맙지만 원하신다면 97억 4천만 달러에 트위터를 인수하겠습니다”라고 반격하는 식으로 응수했는데요.

투자자 후원과 법적 움직임 역시 주목할 만해요.
월스트리트 저널이 처음으로 이 제안을 보도했고, 투자자들을 대리하는 변호사 마크 토버로프는 이 입찰이 OpenAI가 수익 사업체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내부자 간의 협상이 아니라 외부 압력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밝혔습니다.

머스크와 알트만은 OpenAI가 설립된 이래 오랜 갈등을 겪어왔어요.
머스크는 OpenAI가 비영리적, 개방적, 안전 중심의 목표를 잃어버렸다고 주장했고, 이에 반해 알트만은 머스크의 움직임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던 적이 있죠.
이번 제안은 단순한 인수 제안이 아니라, AI 기술 주도권 쟁탈전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을 겁니다.

고먐미 코멘트 : 잘 모르겠고 감정싸움같음

뭐 수익화가 안 좋으니 AGI가 인류의 위협이니 이런 거는 솔직히... 그냥 사람인 저로서는 와닿지 않는 이야기구요. 그냥 동업자 지분 털었는데 내가 손절한 다음에 잘 나가서 빡친 거 처럼 보여요. 사실은 모르니까 돌 던지지 말아주세요.

빨리 읽어보자고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반도체·車도 검토"(종합) : 진짜.. 꼴보기싫어..

BYD 본격 진출에…중국산 車, 개인정보 유출 우려 커져 : 그쵸 아무래도 정보가 오가니까.. 이런 부분은 정부에서 좀 검수하고 수입해야겠죠?

쪼그라든 분양시장…아파트 미분양물량 전망 열세달 만에 최고 : 오 정말?

대학 붙어 좋아했는데…"원룸 월세 74만원" 이화여대 가장 비쌌다 : 크.. 저도 이대 살아서 가져와봤어요

[단독] "오빠, 투자 공부하자"…'가인이' 연기에 깜빡 속았다 : 아휴 이 멍청한 놈들아 아휴 부끄러워 진짜..나랑 공부해

Chart of the day

차트로 보는 시장

캬... PUBG 대단하네요 ㅋㅋㅋㅋㅋㅋㅋ 펍지 때문에 가져와 봤습니다

아니 레데리2가 근데 저정둔가...? 위처3이.. 음.. 저정둔가...?

ㅋㅋㅋㅋㅋㅋㅋ 개인 의견입니다~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