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그만 싸우고 화해하세요 / 5년만에 돌아온 머스크 TSLA 매수
일론 머스크가 약 10억 달러 규모 TSLA를 직접 매수(2020년 2월 이후 처음)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약 10억 달러 규모 TSLA를 직접 매수(2020년 2월 이후 처음)했습니다.
메인 뉴스 : 엔비디아 칩 대중 수출 제한은 시작이었습니다. 파월까지 증시 그런 거 모르겠고 선언해버린 결과, 미국 증세 어제 꽤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신안산선 참사, 부끄러운 산재공화국의 민낯입니다. 미일 무역협정이 시작됐습니다. 답지 좀 훔쳐보죠.
이랬다가 저랬다가 관세 정책의 끝은 어떻게 될까요? 일단 시장은 종국적으로는 최소한 지금보다는 가벼운 관세를 반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 퓨리오사AI를 찾아 "국민 모두가 무료로 누리는 기본 AI 시대"를 말했습니다. 청년 고용한파, 12년만에 최악으로 치닫습니다. 이 문제야말로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주식시장 붕괴에도 눈 깜짝하지 않던 트럼프, 장기채 금리 급등에 한 발 아니 두 발 쯤 물러섰습니다. 이제는 트럼프가 고관세 정책을 펼친다고 해도 시장에 약발이 크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양치기 소년처럼 말이죠. 하이닉스가 삼성을 제치고 D램 왕좌에 올라섰습니다. 42년만입니다.
애플은 그동안 중국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국가로 생산기지를 분산시켜 왔는데요. 하지만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가 발표되면서 분산한 곳까지 관세가 쫓아왔습니다. 도망친 곳에 네.. 낙원이 없었나봅니다 아쉽습니다 팀 쿡. 중국산 제품엔 무려 54%의 관세가 부과되고, 인도(27%), 베트남(46%), 태국(37%), 심지어 유럽의 아일랜드(20%)까지 빠져나갈 길이 없습니다.
문제는 전세입니다. 정확히는 정책성 전세 대출과 국가에 의한 100% 보증이죠. 전세 대출 규모 말씀드릴게요. 박근혜 정부 동안에는 29.6조가 늘어 36조가 됐으며, 문재인 정부 때 126조가 늘어 162조가 됐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022년경 전세자금대출은 170.5조까지 늘어났는데 2023년 10월까지 줄어들어 161.4조가 됐습니다.
어제 레터에서도 좀 썼지만, 우선은 이 관세정책 자체가 트럼프가 천명하는 것처럼 모든 항목에 일괄적으로 적용되거나, 특정 산업/국가에 예외가 없거나 하는 것처럼 그렇게 터프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앞으로 몇 개월에서 몇 년여에 걸쳐 국가, 산업, 회사, 제품의 각 레벨에 있어서 개별적인 합의와 우회통로가 열리게 될 거라고 봐요.
미국, 한국 망사용료 등 디지털 무역장벽 문제 제기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최근 발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에서 한국의 디지털 무역장벽을 집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특히 미국은 한국에서 논의 중인 망사용료 법안이 자국 콘텐츠 제공업체에 불공정하며, 한국 ISP의 독과점을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습니다.
국회의원 평균연령이 57세라고 합니다. 57세를 가정해보죠. 곧 연금 납입을 안 하고, 받는 건 더 받게 되는 겁니다. 말씀드렸다시피 국회의원 평균 연령은 57세입니다. 이들이 국회라는 암실에 모여 작당모의 한 겁니다. 나라가 아니라 일부 연령층의 이익만 대변했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2X2 매트릭스로 그리면 큰 수익은 한 사분면에서만 발생합니다. 전제조건, '다수의 남들이 틀리고'. 이어서, '소수인 내가 맞는' 경우. 에 말이죠. 중국에 대한 비관은 그런 면에서 면밀히 추적하고, 또 반박해야 했습니다. 존 템플턴이 말했듯이, 당신이 주식시장에 제일 먼저 던져야 할 질문은 "어느 섹터가 가장 낙관적이냐"가 아니라 "어느 섹터가 가장 비관적이냐"니까요.
🚀 25년간 83000% 상승… 숫자가 말해준다삼양식품 주가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예요. 1998년 1090원이던 주가가 2025년 90만원을 넘어서면서 830배 폭등했거든요. 만약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지금 8억3000만원이 된 셈이죠. 어마어마하네요.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선제 대응인가, 위기의 신호탄인가? "자금 이슈 선제 대응"… 홈플러스의 입장 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어요. 운영사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이번 조치가 "잠재적인 자금 이슈에 대한 선제 대응"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단기 자금 조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는 건데, 과연 이게 단순한 예방 조치일까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상보다 가파르게 올랐습니다올해 초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해졌어요. 이번 상승은 식료품, 가스, 주택 비용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고, 특히 핵심 CPI(식품·에너지 제외)가 0.4% 상승하며 시장 예상(0.3%)을 웃돌았어요.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시점을 점점 뒤로 미루고 또 횟수도... 줄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