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합의 "중국에 날리는 경고장" / 테슬라에게 닥쳐오는 증명의 시간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발표하며 중국에 경고장을 날립니다. 테슬라, 인도량은 시장 예상치를 비트했지만 감소세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습니다. 여야가 상법 개정안에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안은 아직 미뤄뒀는데요. 최저임금 결정의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정부의 경제 정책, 앞으로 5년을 가늠할 중요한 척도입니다.
트럼프,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발표하며 중국에 경고장을 날립니다. 테슬라, 인도량은 시장 예상치를 비트했지만 감소세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습니다. 여야가 상법 개정안에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안은 아직 미뤄뒀는데요. 최저임금 결정의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정부의 경제 정책, 앞으로 5년을 가늠할 중요한 척도입니다.
'악성 미분양' 11년 만에 최악 수준 기록 다 지어놓고도 팔리지 않아 문제가 되는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가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지난달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총 2만3722호로, 2013년 이후 11년 4개월 만에 2만3000호를 넘는 최악의 상황을 맞았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앞으로 4년 동안 미국에 약 31조원(210억 달러)을 추가 투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미국 우선주의'를 밀어붙이며 각국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 직전, 관세 리스크를 사전에 제거하고 북미 지역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으로 보이네요. 현대차 정의선 회장은 백악관에서 직접 이 계획을 발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의 미국 투자를 "진정 위대한 기업"이라 극찬했습니다.
트럼프가 시동을 걸고 있는 관세 위협과 그로 인한 한미 무역 규모의 잠재적 충격을 고려하면 중국에는 일단 그런 리스크는 없습니다. 게다가 경기 반등을 목전에 두고 있죠. 하나 더, 트럼프와 베센트, 러트닉 셋이 대놓고 말하는 약달러를 고려해보면 미국 수출 PQ는 늘기보다는 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요.
국회의원 평균연령이 57세라고 합니다. 57세를 가정해보죠. 곧 연금 납입을 안 하고, 받는 건 더 받게 되는 겁니다. 말씀드렸다시피 국회의원 평균 연령은 57세입니다. 이들이 국회라는 암실에 모여 작당모의 한 겁니다. 나라가 아니라 일부 연령층의 이익만 대변했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않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처음으로 13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2월 기준 평균 매매가는 13억3090만 원, 1년 전보다 21%, 2년 전보다 33% 상승했습니다. 부동산 급등기였던 2021~2022년 최고가(11억2547만 원)도 훌쩍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서초구는 30억 원 돌파가 눈앞이고, 강남구와 용산구도 각각 27억 원, 21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송파구 역시 잠실 주요 단지(엘리트: 엘스·리센츠·트리지움)의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효과로 역대 최고가(18억7548만 원)를 기록했습니다.
🚀 25년간 83000% 상승… 숫자가 말해준다삼양식품 주가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화제예요. 1998년 1090원이던 주가가 2025년 90만원을 넘어서면서 830배 폭등했거든요. 만약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지금 8억3000만원이 된 셈이죠. 어마어마하네요.
저는 이 계엄에서 가장 안타까운 것이라면 그런 정치적인 문제들도 물론 있겠지만... 트럼프2.0이라는 새로운 세계질서에 우리나라를 경제적으로 안착시켜야 할 이런 타이밍에 국가 컨트롤 타워가 공석이 되어버린 점이 가장 안타깝습니다.
러시아에게서 군수물자를 구입할 수는 없겠죠. 중국에게서도 구입할 수 없고... 남은 나라 중에서... 심지어 지금도 전쟁을 수행하며 군수물자를 현역으로 뽑아내고 있는 나라로 더 좁혀보자면... K방산의 전성기는 아직 안 온 것 같습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선제 대응인가, 위기의 신호탄인가? "자금 이슈 선제 대응"… 홈플러스의 입장 홈플러스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어요. 운영사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는 이번 조치가 "잠재적인 자금 이슈에 대한 선제 대응"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단기 자금 조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는 건데, 과연 이게 단순한 예방 조치일까요?
4분기 매출은 393억 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예상과 부합했지만, 일부 예측치(420억 달러)에는 못 미쳤어요. 또한, 1분기 매출 전망이 430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423억 달러)를 소폭 웃돌았지만, 일부 낙관적인 전망(480억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양호하지만, 폭발적이지는 않은’ 실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중국 정부가 이르면 5월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을 해제할 계획입니다. 2017년 사드(THAAD) 배치 이후 8년간 지속된 문화 교류 제한이 풀리는 것인데요. 19일 중국 아태합작중심 고위 관계자는 “다음 달 문화사절단을 한국에 파견해 문화 교류를 확대하고, 상반기 내 전면적인 개방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어요.
▶ 한국 방산업체, 사상 최대 주문 잔고 기록한국의 7대 방산업체가 2024년 말 기준 총 주문 잔고 105조6000억 원(731억 달러)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한국이 1975년 필리핀에 6억 원 규모의 M1 소총 탄약을 처음 수출한 이후 50년 만에 거둔 성과인데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하마스 갈등 등으로 세계 방위 지출이 증가하면서 K-방산 무기의 수요도 함께 급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