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만에 반전한 출생아 수 / 미국으로 잡혀간 권도형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자 수는 24만2334명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했습니다. 얼마 만에 반전이었냐면, 9년만의 반전입니다. 의미가 아주 없지는 않겠죠?
조선은 조선이지 / 낮아지기만 하는 대한민국 성장률...ㅠㅠ
조선, 무지무지 강합니다. 몇가지 포인트를 좀 짚어보죠. 1)블루팀 조선소 2)해운 활성화? 첫번째는 소위 블루팀 진영에서 이제 건함능력이 중장기적으로 남아있는 거의 유일한 나라라는 겁니다.
이공계, 탈한국 러쉬 / 빌 애크먼, 페니매이+프래디 맥 콜
최근 한국의 석·박사급 인재들이 미국으로 대거 유출되고 있습니다. 2023년 미국 정부가 발급한 고급 인력 취업 이민 비자인 EB-1·2 비자를 받은 한국인은 5,684명으로, 인구 10만 명당 10.98명에 달하는데요. 이렇게 말하면 얼마나 심각한지 모르시겠죠. 이는 인도(1.44명), 중국(0.94명) 등 인구 대국을 크게 앞지르는 수치로, 국내 핵심 인재의 해외 유출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줍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평균적인 교육 수준이 높음을 고려하면 대국과 비교하는 것이 맞을지는 글쎄요...
무안공항 항공참사, 안타까운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 연말 특수 실종된 대한민국 자영업가
지난 일요일 오전, 방콕에서 출발한 제주항공 소속 보잉 737-800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 착륙 중 추락하여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이제는 모두 다 알고 계시겠죠. 뭐라 말해야할지 모를 참담한 소식입니다.
연쇄탄핵사건의 결말은? / 추풍낙엽..? 추풍낙원!
환율은 장중 고가 기준으로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인 1,488원까지 치솟았지만, 오후 들어 급격히 조정을 받으며 1,460원대 후반으로 내려앉았습니다. 연말 거래량이 많지 않은 가운데, 시장은 국내 정치적 불안정에 민감하게 반응했는데요. 하루 변동 폭은 무려 21.2원에 달했습니다. 그러니까 얇은 창 때문에 그랬다... 라고... 한번 스스로를 속여 볼까요?
"오피셜" 초고령 사회 진입 대한민국 / 불법 이민 처단하겠다는 트럼프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섰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12월 23일 기준으로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 4,550명으로, 전체 인구(5,122만 1,286명)의 20.0%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초고령 사회, 진입인 것이죠. 크리스마스 이브에.
넷플릭스+SBS, 가자 세계로! 벌자 달러를!
SBS는 최근 글로벌 OTT 플랫폼 넷플릭스와 6년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계약을 통해 SBS는 신작 드라마와 예능, 교양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기존 인기 콘텐츠를 넷플릭스를 통해 국내외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소식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SBS의 실적 개선을 전망하며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있습니다.
달러저금통 국민연금, 원화 살살 녹는다!
정부가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 한도를 기존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확대하고, 은행의 선물환포지션 한도를 대폭 상향하는 ‘외환 수급 개선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5년 만에 1450원을 넘어서면서 원화가치가 급락하자 외환시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결정했는데요, 이는 외환시장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기업의 외화 조달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림수로 풀이됩니다. 스와프 한도 확대, 진짜 효과는?
금리는 내리지만 속도는 늦추겠다는 파월 / 애플 : 어이 유럽, 트럼프 형님이 손 봐주실 거다!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 금리를 세 번째 연속으로 인하했습니다. 하지만 2025년의 금리 인하 횟수에 대한 전망은 줄어들었죠. 시장 반응: 주가 하락, 채권 수익률 상승발표 직후 S&P 500 지수는 하락했으며, 단기 국채 수익률은 4.33%로 상승하며 Fed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이와 함께 블룸버그 달러 지수도 상승했습니다. 시장은 Fed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 스킵한 트럼프, 아 왜 대우 트럼프 타워는 잊은 거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한반도 주변 강대국들과의 정상 외교를 예고하면서도 한국을 언급하지 않아 국내 언론 등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