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이야기에는 끝이 있지만, 찰리 멍거> 시대를 초월한 지혜와 끝없이 이어질 유산
어떻게 수식할지 고민스럽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부회장이자, 워렌 버핏이 오래 신뢰해온 찰리 멍거가 100세 생일을 앞두고 영면에 들었습니다. 오랜 사업 파트너였던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렌 버핏은 성명을 통해 "버크셔 해서웨이는 찰리의 영감, 지혜, 참여 없이는 불가능했다"고 말했습니다.
<어쩌면, 세계의 탈중국이 아닌 중국의 탈세계> 늦은밤 투자레터
3분기, 애플은 2001년 이후 최초로 4분기 연속 매출 감소를 기록하며 주 원인으로 중국에서의 성장 감소를 꼽았습니다. 중국 당국의 규제가 촉발한 애국주의 소비의 대동과 샤오미/화웨이 등 자국 브랜드의 성장이 그 배경이었죠.
$FSR 투자 아이디어, <The cliffhanger>
수없이 많은 EV업체들이 공수표를 내걸고 수조, 수십조의 가치에 거래 되다가 휴짓조각으로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몇몇 이름들이 실체를 드러내고 있죠.
로봇, 미래의 귀환(2) 반복되는 미래
고금리와 높아진 인건비, 줄어드는 인구가 자동화에 대한 자본투자와 시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자 근미래일 겁니다.
로봇, 미래의 귀환(1) 흑사병과 자동화
미국 MIT의 피터 테민 박사는 흑사병이 1차 산업혁명이 태어나는 동인이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흑사병이 뒤바꾼 인구구조로 인해, 당대의 자본가들이 기술발전에 총력을 기울였기 때문입니다.
기름이 바꾸는 세계패권
> 기름 생산의 세 축은 페르이사만, 구 소비에트연방, 미국입니다. > 페르시아만은 감산, 구 소비에트연방은 생산능력 상실을, 미국은 피크아웃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 중국의 수요 리바운드까지 더해 고려하면 가격 랠리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그리고, 하반기 세계패권에 영향을 주게 될 겁니다. > 0716
앱코 Buying thesis (2), <PC방에 바치는 헌사>
편에서는 우리나라 게이밍 기어 회사인 앱코에만 해당되는 이슈인 pc방 싸이클, 액면분할, 이익개선과 함께 내부자 매수 공시까지를 읽어보겠습니다.
앱코 Buying thesis (1), <영원한 호황도, 영원한 불황도 없다>
앱코는 게이밍 기어를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코로나 시기, 방 안에 갇힌 사람들은 게이밍 세계로 접속하기 시작했고 게임산업과 게이밍기어는 이 시기 분명한 수혜산업이었습니다. 코로나가 끝남과 동시에 사람들은 데스크탑 앞에 앉기보다 여행을 가기 시작했고, 게이밍 기어 회사들의 실적도, 주가도 곤두박질치게 되었죠. 그러나, 호황이 영원하지 않았던 것처럼, 불황도 영원하지 않을 겁니다.
제레미 그랜섬이 보는 침체, <The worst is yet to come>
"결국, 인생은 단순하다. 낮은 금리는 자산 가격을 상승시킨다. 더 높은 금리는 자산 가격을 낮출 수 있다"고 그는 루벤슈타인에게 말했다. "우리는 이제 지난 10년 동안 우리가 가졌던 것보다 평균 더 높은 요율의 시대에 있다."
비디오테이프 표준 전쟁에서 엿보는 배터리 시장의 미래(LFP vs NCM) (2)
생각해보면 웃긴 이야기에요. 사람들은 삼원계 배터리를 갖고 싶어하는 게 아니에요. 테슬라를 갖고 싶어하는 거죠. BMW, 벤츠, 아우디면 2,000cc여도 상관 없었던 것처럼. LFP든, 다원계든 알게 뭔데? 테슬라가, 더 싼데? 면 되는 거란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