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낮추고 시진핑과 통화할 수도" 아닐 수도 있다는 트럼프 / 빌 게이츠 vs 일론 머스크, 테크 빌리어네어 신구 대결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의 주말 협상을 앞두고 잘 풀린다면 관세를 일정 정도 낮추고 또 시진핑 주석과 통화할 수도 있따는 의사를 내비쳤습니다. 잘 되면 자화자찬 못 되면 중국 탓 하겠네요.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동결하며 무려 11번, 기다려보자는 말을 했습니다. 모르죠. 어떻게 될지. 관세가 실물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게 될지 지켜 보시죠.
사우디, 유가폭탄 "어디 한번 해봐?" / 아군 오인 사격하는 트럼프
미중 드디어 약속 잡았습니다. 스위스에서 만난다고 하네요. 전격적인 합의는 어렵겠으나, 시작에 의미를 둡니다. 감산 쿼터를 지키지 않는 산유국들에 빡친 사우디가 증산 선언에 나섰습니다. 누가 더 오래 버티나 대결 같은 거죠. 미국 제조업을 위대하게 만들겠다는 관세에 오히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신음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섰습니다.
빚더미에 깔린 자영업자, 10년만에 최고치 찍은 카드 연체율 / 관세 탓하려다가 혼난 아마존
아마존이 관세 영향을 가격에 별도 표기하기로 했다가 트럼프에게 혼났다고 합니다. 직접 제프 베조스에게 전화걸어서 한 소리 하셨다는데요. 이야 이거 뭐... 트럼프가 7월 4일을 목표로 대규모 감세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재정 지출 확대와 감세의 조합이라니...ㅎㅎ 리즈 트러스가 생각나는 순간이죠.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관세 우려를 반영한 선주문 덕인지 호조를 보였지만 내수가 영살아나지 않는 모습입니다.
서울시 싱크홀 지도 비공개, 그래 다 죽여라 죽여 / 공은 중국에게 있다는 베센트
이베리아 반도에서 대규모 정전이 일어났습니다. 이베리아 반도는 신재생 몰빵 에너지 정책을 추진 중이죠? 철강 후판 가격이 오를 것 같습니다. 조선업이라고 다 호재만 품고 있는 건 아닙니다. 서울시 싱크홀 지도, 결국 비공개되었습니다. 어이가 없네요.
엔비디아 넘겠다는 화웨이 "반도체 딥시크?" / 중국 떠나는 기업들, 메이드 인 인디아의 시대 옵니까?
화웨이가 신형 AI칩을 내놨습니다. 엔비디아H 100을 경쟁상대로 호명했는데요. 네, "아직은",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겠죠.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벗어나 공급체인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 박현주 회장이 미국 편향 투자를 우려하며 중국 투자 확대를 말하고 있습니다.
파월! U ARE FIRED! 하지만 불난 건 미국 주식시장이었고... / 위기에 빠진 테슬라를 구할 마지막 희망
중국이 미국산 대두, 미국산 에너지 구입을 점차 줄여나가고 있습니다. 승자 없는 이 싸움은 언제까지 계속될까요? 머스크가 정치와 불륜에 빠진 사이, 테슬라 주식은 꽤 깊이 처박았습니다. 머스크 돌아와! 트럼프가 파월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모양새입니다. 파월! 이대로 당할거야?
JD 밴스 인도 방문, "중국 다음은 인도?" / 레버리지 10배 "이재명의 부동산 집권 플랜"
미국 부통령이 인도를 찾았습니다. 아내까지 대동하고 인도 주요 관광지를 둘러볼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참고로 아내가 인도계죠. 여타 동맹국들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른 유화적인 제스쳐를 보내고 있습니다. 중국에 각을 세우고 있는만큼, 인도를 차기 세계의 공장으로 점 찍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트럼프 "칩 수출 금지", 파월 "금리 인하 없어" / 신안산선 참사, 산재공화국의 민낯
메인 뉴스 : 엔비디아 칩 대중 수출 제한은 시작이었습니다. 파월까지 증시 그런 거 모르겠고 선언해버린 결과, 미국 증세 어제 꽤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신안산선 참사, 부끄러운 산재공화국의 민낯입니다. 미일 무역협정이 시작됐습니다. 답지 좀 훔쳐보죠.
양치기 노년 트럼프 "관세는 유예되거나 취소되거나 변경될 겁니다" / 퓨리오사AI 찾은 이재명 전 대표 "국민 모두가 무료로 누리는 기본AI 시대"
이랬다가 저랬다가 관세 정책의 끝은 어떻게 될까요? 일단 시장은 종국적으로는 최소한 지금보다는 가벼운 관세를 반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 퓨리오사AI를 찾아 "국민 모두가 무료로 누리는 기본 AI 시대"를 말했습니다. 청년 고용한파, 12년만에 최악으로 치닫습니다. 이 문제야말로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전격적으로 관세 유예한 트럼프, "채권시장은 차갑다" / 삼성 제친 하이닉스, 42년... 만이었다.
주식시장 붕괴에도 눈 깜짝하지 않던 트럼프, 장기채 금리 급등에 한 발 아니 두 발 쯤 물러섰습니다. 이제는 트럼프가 고관세 정책을 펼친다고 해도 시장에 약발이 크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양치기 소년처럼 말이죠. 하이닉스가 삼성을 제치고 D램 왕좌에 올라섰습니다. 42년만입니다.